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바이든
- 회계원리 개념
- 재경관리사개념
- 돈키레터
- 비트코인
- 미스터동
- 쉬인
- 오물풍선
- 파리올림픽
- 회계원리개념
- 트럼프
- 서울아파트
- 어피티
- 회계원리
- 재무상태표
- 리비안
- 머니네버슬립
- 뉴스레터정리
- 오픈AI
- SAP CO
- 뉴닉
- 재경관리사원가회계
- 트럼프당선
- 뉴스레터
- 엔비디아
- 계약갱신청구권
- 뉴스레터추천
- 경제뉴스레터
- TSMC
- 예금자보호한도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0)
ASA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YEvB/btrUdgodgzb/gYK5jTFOWGg59R62ZlWrT1/img.png)
SAP 에서 엑셀을 업로드 했는데, ALV에 DISPLAY되는 인터널테이블의 값이 자릿수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코스트센터 값을 1111111 입력했는데, 이 숫자 그대로 들어가는 경우이다. 실제로 코스트센터의 자릿수는 10자리라 0001111111이 인터널테이블에 들어가야 한다. 나는 필드카탈로그 속성에 REF_TABLE, REF_FIELD도 다 줬는데 왜 적용이 안되냐?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 그래도 업로드 시에는 꼭 Conversion을 해줘야 한다... 업로드를 하고 data들을 하단 코드를 사용해 다시 수정해주자. 입력한 코스트센터 값 1111111 이 0001111111로 인터널테이블에 잘 들어갈 것이다. CALL FUNCTION 'CONVERSION_EXIT_ALPHA_I..
ABAP 개발을 하다보면, 실제 DB Table에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COMMIT WORK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DB테이블에 업데이트가 안되는데 왜 그러는지 알아보자. 우선, 짚고 넘어가야 할 건 COMMIT WORK, ROLLBACK WORK는 일반적인 SQL개념이라는 것이다. ABAP공부만 하신 분이라면 SAP/ABAP에서만 쓰이는 용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공통 개념이라는 걸 짚고 가면 좋겠다. INSERT, DELETE 같은 명령어들은 실제 DB에 바로 반영시켜주는 것이 아니고,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을 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이 COMMIT WORK명령어를 사용해야만 이 변화사항들이 실제 DB에 반영이 된다. COMMIT WORK : 변화 사항들을 저장. RO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WRjD/btrO36i66Sh/Yw1N1rsZdIvFFNFItiSnr1/img.png)
EXCEL 데이터를 SAP 시스템에 옮기기 위해서 ALSM_EXCEl_TO_INTERNAL_TABLE 함수를 사용할 것이다. 우선, ALSM_EXCEL_TO_INTERNAL_TABLE이 엑셀 데이터를 어떻게 옮기는 건지 알아보자. 윈도우 시스템에는 OLE가 있는데, OLE는 생소할 수도 있지만 Object Linking and Embedding의 약자로 개체간 연결, 삽입이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우리가 word에서 작업하던 표를 ppt로 옮기고 싶을 때 쓰는 거라고 볼 수 있다. 이 윈도우 OLE에는 클립보드기능 있는데, 이 클립보드를 이용해서 Excel에 있는 데이터를 SAP시스템에 옮길 수 있다. 이 엑셀 OLE 명령어 때문에 이슈가 되는 건데 .. 아래 url을 참고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H12YA/btrNga168cc/t2hRRZAGx4aFLAVVgwOBTk/img.png)
[ 코스트센터 생성 ] 1. KS01 티코드로 들어감 참고로, KS01 생성 / KS02 변경 / KS03 조회 / KS04 삭제 2. 입력 ■ 필수입력 -새로운 코스트센터 번호 -효력시장/종료일 ■ 선택입력 -[참조]의 코스트센터: 새로 생성하려는 코스트센터와 디테일이 비슷한 코스트센터 입력 -[참조]의 관리회계영역: 참조할만한 코스트센터의 관리회계영역 3. [마스터 데이터] 버튼 클릭 (좌측 상단) 4. 영역 입력 -이름 : 생성할 코스트센터의 이름 -내역 : 생성할 코스트센터 설명 5. 입력 -책임자 -코스트센터범주: W(관리자) 선택 -계층구조영역 -사업 영역 -톻화 : 이전에 선택한 것 기준으로 선택되어 있음 6. 에서 적절한 지표 선택 7. 저장 [ 코스트센터그룹 생성 ] * 코스트센터그룹 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gbmb/btrNbbnhz4l/oFh1j7BqGbqE5T4u9GN320/img.png)
CO모듈을 어떻게 공부할까 고민을 하다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무료 강의가 있어 보면서 정리용으로 기록을 남긴다. 강의 link http://www.kocw.net/home/cview.do?lid=023d210abb13c3fa ■ CO Controlling 관리회계 모듈 ■ CO 영역 1. 간접비관리 2. 원가계산 3. 이익관리 크게 이렇게 3가지로 나뉜다. ■ FI와 CO 차이점 1. FI for 외부관계자 기업의 재무제표를 작성해 외부 이해 관계자에게 정보 제공 => 결산 중요 2. CO for 내부이용자 각 Business Unit( ex. 제품군 ) 별로 영업이익 산출 영업 이익을 계산하기 위해 직접 이익을 집계하고, 간접 비용을 배부해야 함 다양한 정보를 제공 => 다양성 중요 CO는 최종 목표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cGpJ/btrMdDxwBM9/HeXGXQrVNOZIykkl7QRkkK/img.png)
SAP에서 직접 수정을 권장하진 않지만, 아예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정말 필요할 땐 SE16N에서 수정모드로 들어가 수정을 하면 된다. 두 가지 방법을 알아보자. [방법1. SE16N에서 디버깅으로 수정모드로 바꿈] 1. TCODE: SE16N을 들어간다. 2. 수정하고 싶은 테이블을 필드에 입력한다. 여기선 예시로 SFLIGHT 테이블을 입력했다. 3. Command창에 /h를 입력해 디버깅 모드로 바꾼 후 실행(F8)한다. 4. Variable창에 Variable인 GD-SAPEDIT, GD-EDIT를 입력한 후 값을 'X'로 바꿔준 후 실행(F8)한다. 값 편집할 때는 변수 옆에 연필모양을 클릭하면 편집이 가능하다. GD-SAPEDIT와 GD-EDIT변수는 테이블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게끔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