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물풍선
- 머니네버슬립
- 뉴스레터정리
- 계약갱신청구권
- 경제뉴스레터
- 회계원리 개념
- 트럼프
- 재무상태표
- 쉬인
- 서울아파트
- 리비안
- 파리올림픽
- 오픈AI
- 어피티
- SAP CO
- 미스터동
- 뉴스레터추천
- 회계원리
- 예금자보호한도
- 트럼프당선
- 돈키레터
- 비트코인
- 뉴스레터
- 뉴닉
- 바이든
- TSMC
- 재경관리사원가회계
- 엔비디아
- 회계원리개념
- 재경관리사개념
- Today
- Total
목록회계/회계원리 (17)
ASA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oXUg/btspeKz3Iy6/UKIBeuqHGUqQgQ7VSItUEK/img.png)
* 결산수정분개 실무에선 편의상 일부 회계처리는 기중에 현금주의로 처리하고 기말에 발생주의로 수정하는 항목이 존재 또 기중엔 회계처리 안하고 기말헤 한번에 발생주의로 회계처리 하는 항목도 존재함 => 기중에 현금주의로 한 회계처리 수정 or 기말에 한번에 몰아서 회계처리 * 결산마감분개 회계기간의 기말잔액을 마감하고 다음 회계기간에 기초 잔액으로 이월시키는 과정 자산,부채,자본은 stock으로 차기 그대로 이월해도 문제가 없지만 수익,비용은 flow로 하나의 기간이 끝나면 다음 기간으로 이월할 수 없어서 stock계쩡인 이익잉여금에 반영해야 함. 위에서 차변 대변이 불일치하니 이익 잉여금을 추가함 이 과정을 거치면 재무제표 작성 가능 수정전시산표에서 결산수정분개를 반영해서 수정후시산표 만들고 그 다음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hkbD/btspg12gT0H/CsWojoBPfU6HKEEvqXeyLk/img.png)
* 감가상각(Depreciation) 일반적인 유형자산은 시간이 지나고 사용할수록 점점 가치가 떨어져서 이러한 현상을 표현한 과정 감가상각엔 경제적 감가상각, 회계적 감가상각 존재. * 회계적 감가상각 1. 원가 -> 비용 2. 원가 -> 자산 -> 비용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 유형자산은 활용하면 수익이 발생 (ex. 컴퓨터를 사면 컴퓨터를 이용해 돈을 번다.) 이때 수익은 유형자산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한다. 그러므로 수익이 발생하는 동안 비용을 나눠서 계산. 본 글은 아래 강의를 필기한 내용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tX2_FPOepo
사람들은 미래의 현금보다 현재의 현금을 더 좋아함. 사람들에게는 '유동성 선호'라는 성향 있음 * 화폐의 시간가치 이러한 유동성 선호를 반영하면, 화폐에는 시간 가치가 존재함 즉 미래의 100원보다는 현재의 100원이 더 가치가 있으므로 똑같은 가치를 가지려면 미래의 100원엔 시간의 가치만큼 보상을 해주어야 함. 즉 이자를 주어야 하는 것 * 이자율 시간의 가치를 측정하는 단위 보통 1년을 기준으로 연이자율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 1년간 화폐가 가지는 가치를 비율로 환산한 것이 연 이자율 * 발생이자 연 이자율 6%(단리) 2018.07.01에 100원 예금함. 2018.12.31엔 6개월치의 이자가 발생됨 이자는 2019년엔 받지만 2018년 3원 2019년 3원 이렇게 나눠서 이자수익 계산 본 글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O3me/btsowkaUHqe/mBqAeCia5S3tlqxyBpJHE0/img.png)
회계처리엔 현금주의와 발생주의가 있는데 발생주의로 처리해야 한다. 발생주의란 거래가 발생하는 시점에 기록을 하는 것 물론 현금이 오가는 때에도 기록을 한다. 현금주의 ex. 가계부. 현금이 들어오고 나간 날 회계상의 거래를 기록하는 것. 발생주의 현금 흐름과 상관없이 거래가 발생된 시점에 거래를 기록하는 것 제무제표 1. 회계처리의 효과가 귀속되는 시기가 분리됨(기간귀속) 2. 회사의 경영성과 명확하게 표현 가능 3. 회계기간말 권리, 의무 충실하게 표현 가능 위 내용은 아래 강의를 정리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8csi8fzzg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6zRUp/btsoxwBDz3A/38k5naD58Ye4vdKeJIack0/img.png)
각 분개들이 모여서 재무제표로 가기 직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것이 합계잔액시산표. 이 합계잔액 시산표를 이해하기 위해선 계정별 원장 이해 필수. 이 계정별원장을 이해하기 위해선 분개장, 총계정원장 이해 필수. 1. 분개를 분개장에 적은 다음 2. 총계정원장에 옮겨 적기(전기) 3. 이월된 기초금액도 같이 적음 4. 총계정원장에서 계정별원장 생성 5. 계정별원장 통해 각 계정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알 수 있음 6. 계정별원장을 응용하면 합계잔액시산표 작성 가능. 분개장 하나씩 쌓인 분개를 날짜로 쭉 나열한 것이 분개장 차변계정/금액, 대변계정/금액 전기: 분개장에서 원장으로 옮겨 적는 행위 총계정원장 전기이월금액 포함 차, 대변 계정을 회계계정에 합쳐짐. 분개장에서 1줄인 것이 총계정원장엔 2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lCS/btsoyH3IOLw/48dLvChMmf9nuIMKU7agek/img.png)
처음 회사가 설립됐을 때: 1기. 그 다음년도 2기 재무상태표 자산 밑에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이 있음 부채 밑에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자본은 유동, 비유동 구분이 없음. 자본자체가 비유동이라고 생각하면 됨. t계정으로 만들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됨. 손익계산서 매출액에서 시작. 매출원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원가. 매출총이익: 매출액 - 매출원가 영업이익: 매출총이익 - 판관비 , 기업 평가를 할 때 영업이익을 하는 게 좋음. (영업은 개판으로 하는데 부동산으로 수익 올리는 경우) 영업외수익: 이자수익 등등.. 영업외비용: 외환차손, 기부금 등등..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법인세 빼기전 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