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트럼프
- 재경관리사개념
- 오물풍선
- 뉴스레터정리
- 회계원리
- 경제뉴스레터
- 트럼프당선
- 서울아파트
- 비트코인
- 회계원리 개념
- 쉬인
- 리비안
- SAP CO
- 재무상태표
- 뉴닉
- TSMC
- 오픈AI
- 바이든
- 계약갱신청구권
- 예금자보호한도
- 돈키레터
- 재경관리사원가회계
- 엔비디아
- 머니네버슬립
- 뉴스레터추천
- 미스터동
- 어피티
- 회계원리개념
- 파리올림픽
- 뉴스레터
- Today
- Total
목록회계원리 (12)
ASA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6zRUp/btsoxwBDz3A/38k5naD58Ye4vdKeJIack0/img.png)
각 분개들이 모여서 재무제표로 가기 직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것이 합계잔액시산표. 이 합계잔액 시산표를 이해하기 위해선 계정별 원장 이해 필수. 이 계정별원장을 이해하기 위해선 분개장, 총계정원장 이해 필수. 1. 분개를 분개장에 적은 다음 2. 총계정원장에 옮겨 적기(전기) 3. 이월된 기초금액도 같이 적음 4. 총계정원장에서 계정별원장 생성 5. 계정별원장 통해 각 계정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알 수 있음 6. 계정별원장을 응용하면 합계잔액시산표 작성 가능. 분개장 하나씩 쌓인 분개를 날짜로 쭉 나열한 것이 분개장 차변계정/금액, 대변계정/금액 전기: 분개장에서 원장으로 옮겨 적는 행위 총계정원장 전기이월금액 포함 차, 대변 계정을 회계계정에 합쳐짐. 분개장에서 1줄인 것이 총계정원장엔 2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lCS/btsoyH3IOLw/48dLvChMmf9nuIMKU7agek/img.png)
처음 회사가 설립됐을 때: 1기. 그 다음년도 2기 재무상태표 자산 밑에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이 있음 부채 밑에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자본은 유동, 비유동 구분이 없음. 자본자체가 비유동이라고 생각하면 됨. t계정으로 만들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됨. 손익계산서 매출액에서 시작. 매출원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원가. 매출총이익: 매출액 - 매출원가 영업이익: 매출총이익 - 판관비 , 기업 평가를 할 때 영업이익을 하는 게 좋음. (영업은 개판으로 하는데 부동산으로 수익 올리는 경우) 영업외수익: 이자수익 등등.. 영업외비용: 외환차손, 기부금 등등..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법인세 빼기전 이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H1duJ/btsoyr7C7Lx/5UBkVKx5ovR0KqCreF2f5k/img.png)
위 내용은 아래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zr1QWzDYZk 차변 합 = 대변 합 - 회계의 순환구조 재무상태표에서 출발했다가 한 기간 동안의 수익과 비용이 손익계산서에 표시되고 그 표시된 내용들의 이익, 손실이 자본으로 흘러가서 다시 재무상태표 기말에 영향을 미침 재무상태표 회사 설립 현금 4000 부채 0 자본 4000 거래1. 부채를 차입하여 건물 구입 건물 7000 부채 3500 현금 3500 현금 500 부채 3500 건물 7000 자본 4000 거래 2. 현금으로 상품 구입 상품 300 현금 300 현금 200 부채 3500 건물 7000 자본 4000 상품 300 거래3. 상품판매 현금 700 상품 300 수익 400 현금 900 ..
재무제표의 요소는 크게 2가지가 있다. 1. 재무상태 측정 2. 성과 측정 1. 재무상태 측정 자산, 부채, 자본 재무상태표 자산: 과거사건의 결과 기업이 현재 통제하고 있고 미래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부채: 과거사건으로 생긴 현재 의무. 기업이 가진 경제적 효익이 있는 자원 유출을 통해 이행이 예상되는 의무 자본: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이후의 잔여 지분 자산 과거사건의 결과 기업이 현재 통제하고 있고 미래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 과거 사건의 결과? 미래에 예상되는 일이 아니라 이미 일어난 일. - 통제? 일반적으로 법률적인 통제를 말하지만 꼭 법률적인 통제를 말하진 않음. - 미래의 효익? 직접 또는 간접으로 미래에 현금(및 현금성자산)이 ..
stock 저량, 어느 한 시점의 데이터 자산, 부채, 자본 (일정 시점의 자산이 얼마인가, 일정 시점의 부채가 얼마인가) flow 유량, 어느 한 기간의 데이터 수익, 비용 ( 딱 특정 시점의 수익, 비용은 없다. 기간에서만 적용 가능) ex) 욕조에 수돗물을 받는 이야기 일정시점의 욕조에 담긴 물의 양 -> stock(저량) 일정기간의 욕조에 들어오고 나간 물의 양의 합계 -> flow(유량) 이 세상에 있는 많은 데이터를 저량, 유량으로 나눌 수 있음 2018년 한 해 동안 결혼한 커플 수? flow 2018년 말 1인가구의 수는? stock 2018년 국내 총생산(GDP)? flow 2018년말 국가부채는? stock 본 글은 아래 영상을 수강하면서 기록한 내용입니다. https://www.you..
https://www.youtube.com/watch?v=1evJVf2zcUE 위 강의를 듣고 내용을 정리합니다. 회계 용어는 일본에서 많이 유래한다고 합니다. 부기, 차변, 대변 등.. 부기(기장법) 거래의 흐름을 기록하는 것 회계정보는 단식부기가 아닌 복식부기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 1. 단식부기 한 줄로 적는 것. ex. 가계부 - 단점 거래의 한 가지 측면만 고려 대체로 현금 위주로 증가/감소만 고려: 예를 들어 차라는 자산을 구매하는데 단식부기에선 비용이 나가는 것만 기입됨 일자 입금 출금 적요 2023-07-25 70000000 차 구입 2023-07-25 1000000 주택융자상환 차 구입한 것: 자산의 증가 o 비용x 주택융자 상환: 부채의 감소 o 비용x 2. 복식부기 분개 (차변) 자동..